일반적으로 워드를 많이 이용하지만 간혹 한글을 이용해서 문서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선느 한글 그림 사라짐 현상에 대한 해결 방법에 대해서알아 보려고 합니다. 한글에서 그림을 삽입한후에 그림이 않 보이고 그림 자리에 X 모양만 남아 있다고 한다면 한가지만 확인 하시면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 할수 있습니다.
한글의 경우에는 보기에 "문단 부호", "조판 부호", "교정 부호", "그림", "투명 선", "메모" 등의 각 항목들을 보여주거나 숨길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만둔 부호나 조판 부호등은 문서 작성때 참고를 하는거지만 그림의 경우에는 실제로 문서내부에 있는 컨텐츠로 이 부분이 제대로 설정이 않되어 있다면 그림이 않 보이는 현상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보시는것처럼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신적이 있을텐데요. 원래 저 X 모양의 부분에 그림이 보여야 하지만 현재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동일한 화면을 보신 경우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상단 메뉴중에서 보기를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위에서 간단하게 설명 드렸던것처럼 각각 항목에 대해서 보여줄지 말지를 선택 할수가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그림이 선택이 안되어 있다면 그림이 이미지가 보이지 않고 위와 같이 X 만 보여 지게 됩니다.
보기에서 그림을 선택 하시면 아래와 같이 해당 부분이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보이는걸 확인 하실수가 있습니다. 동일한 현상을 겪으셨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을 하실수 있습니다. 또 하나 생각해볼수가 있는게 이미지가 문서에 포함이 되어 있는 형태가 아닌 외부 파일로 링크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원본 이미지가 없는 경우 인데요.
이 경우에는 실제로 이미지가 X 표시가 아니라 아예 표시가 안되는 형태로 보여 지게 됩니다. 혹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신다고 하시면 이미지 부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객체 속성을 선택 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이 객체 속성 메뉴에서 "그림" 탭을 선택 하시면 파일 이름 하단에 아래와 같이 " 문서에 포함" 이라는 부분이 보이실겁니다. 원래 기본적으로 문서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지만 간혹 이미지 사이즈가 크거나 한 경우에는 이미지에 포함 하지 않고 외부에 그냥 둔 상태로 문서를 작성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럴때 원본 이미지가 없어져서 표시가 않 될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이미지인지를 아신다면 이미지를 다시 링크해 주시면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가 될겁니다. 하지만 내가 작성한 문서가 아닌경우에 어떤 이미지가 들어 있었는지 알수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해결 하기가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
이상 한글 그림 사라짐 현상에 대한 해결방법 두가지를 알아 보았습니다. 두가지가 각각 보여지는 현상도 약간은 다르기 때문에 현상에 맞는 방법으로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이상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녹음기 사용법 MP3 변환 방법 (0) | 2018.05.16 |
---|---|
윈도우 클립보드 보는방법 (0) | 2018.05.15 |
엑셀 SUMIF 함수 사용방법 (2) | 2018.05.05 |
엑셀 요일 함수 사용법 (0) | 2018.05.03 |
카카오톡 PC버전 인증 안될때 (0) | 2018.04.30 |